본문 바로가기

IT/NAS

타오나스 (헤놀로지) DSM 7.0.1 트랜스코딩 활성화 하기

반응형

잊고 있었다.

디카에 저장되어있던 나의 과거들.

 

막상 NAS에 백업해놓고 보니 갑작 없던 메시지가 뜨는 것을 발견.

 

이상하다 싶어서 확인해보니, SN가 블럭당해 있다는 것.

분명 패치를 했는데 왜 그런가 해서 확인해보니, 패치가 풀려 있었다.

 

알수 없지만, 일단 다시 패치를 진행하고 다시 인덱싱 중이다.

https://svrforum.com/nas/91602?cpage=2#comment 

 

서버포럼 - 헤놀로지(Xpenology) 트랜스코딩 활성화하는방법.

안녕하세요. 달소입니다. 앞서 낙원전자 @낙원전자 91438 님께서 소개해주신 synocodectool-pacth에 대해 좀더 상세히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트랜스코딩에 간단한 설명부터 헤놀로지에서 ssh를 활성

svrforum.com

 

혹시 원본이 삭제될까봐, 내 블로그에 원작자 글을 남겨 놓기로 한다.


앞서 낙원전자 님께서 소개해주신 synocodectool-pacth에 대해 좀더 상세히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트랜스코딩에 간단한 설명부터 헤놀로지에서 ssh를 활성화하고 트랜스코딩을 활성화하는 방법까지 모두 진행해보겠습니다.

 

트랜스코딩이 활성화되어있는지 확인하려면 아래 명령어로 확인해보시면 됩니다.

more /usr/syno/etc/codec/activation.conf

 

트랜스코딩이란?

트랜스코딩은 말그대로 재생하는 디바이스에서 영상의 코덱을 지원할지 못할때 실시간으로 인코딩을 하여 재생이  가능하도록 해주는것 입니다. 

예를 들자면 원본의 4k 영상을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절약을 위해 fhd 혹은,hd로 변환할수있도록 도와줍니다.(plex h/w트랜스코딩)

대표적인건 인텔의 퀵싱크가 있고 j4105 등 내장그래픽이 있는모델에서 사용됩니다.

 

트랜스코딩의 효율의 경우 상당히 큰편이니 하드웨어가 지원한다면 꼭 적용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트랜스코딩 활성화하는방법

기본적으로 트랜스코딩의 경우 시놀로지 정품에서는 바로 될것이며

헤놀로지의 경우 인증받은 시리얼넘버(S/N) 과 기타 여러조건이 있으면 활성화 됩니다.

 

다만 시리얼넘버가 맞지않더라도 아래 깃허브의 스크립트를 통해 손쉽게 가능합니다.

*해당 트랜스코딩 활성화 스크립트는 기존 안정된 버전인 6.0 부터 최신버전의 7.0.1까지 지원합니다.

 

기본적인 요구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 DiskStation Manager 6 이상
  • 일련 번호는 올바른 형식이어야 합니다(예: DS918+의 경우 XXXXPDNXXXXXX, DS3617xs의 경우 XXXXODNXXXXXX, 3615xs의 경우 XXXXLWNXXXXXX).
  • x86-64 기반
  • SSH/터미널 액세스
  • sudo/루트

 

일련번호의 경우 DSM 제어판  -> 정보센터에서 확인가능합니다.

제 구형같은경우 DS918+ 인데 시리얼이 완전 예전꺼라서,, 이렇게되면 작동하지않으니 위 요구사항에 맞춰주세요.

 

 

이제 ssh를 활성화시켜주고 putty와같은 툴로 터미널로 접근해주세요.

제어판 -> 터미널 및 SNMP -> SSH 서비스 활성화

 

PuTTY로 헤놀로지 ip와 포트를 통해접속해주세요.
계정은 헤놀로지에서 사용하는 관리자계정으로 로그인해주시면됩니다.

 

 

로그인후에는 sudo su 명령어로 root권한으로 변경해주세요.

 

 

이제 스크립트를 다운로드 받고 실행권한을 주겠습니다.

 

 

 

사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sudo ./patch.sh -h

SYNOPSIS
    patch.sh [-h] [-p|-r|-l]
DESCRIPTION
    Patch to enable transcoding without a valid serial in DSM 6+
     -h      Print this help message // help 명령어
        -p      Patch synocodectool // 패치하기.(패치할때 자동으로 백업합니다.)
        -r      Restore original from backup  // 문제가있을시 복구해줍니다.
        -l      List supported DSM versions // 지원 범위의 dsm 버전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최신버전인 7.0.1-42218-Update 2의 경우 아래댓글을 참고해주세요.

7.1의경우 7.1 42661-1 나 7.1 42661-2 로 넣어주시면됩니다.

 

위 사용법대로 진행하시면 큰 어려움은 없습니다.

바로 진행해보겠습니다.

 

sudo ./patch.sh -p

명령어를 입력하면 아래처럼 자동으로 버전을 확인해서 진행하며 바이너리 패치는 당연히 1번으로해주면됩니다.

 

이렇게 패치가 되면 activation.conf도 변경이 되는데 내용을 확인해보면 정상적으로 활성화 된것을 볼 수 있습니다.

more /usr/syno/etc/codec/activation.conf

 

 

원상복구방법은 -r 옵션을 주시면됩니다.

 


 참고로, 이번의 경우, 1)을 선택하지 않고, 2)를 선택하고 나니 다시 정상적으로 패치가 적용되었다.

 

역시....돈 많으면 그냥 정품사라.

너무 귀찮다.ㅠㅠ

반응형